서울 시내 대형 마트의 달걀 판매대입니다. <br /> <br />달걀 외부에 산란 일자가 포함된 10자리 정보가 표기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월 23일 시행한 달걀 껍데기 산란 일자 표시제가 6개월 동안의 계도 기간을 거쳐 전면 시행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대형 마트들은 이미 일찌감치 표시제에 동참해 문제는 없는지 체크했습니다. <br /> <br />[조덕현 / 서울 하나로마트 신촌점 계장 : (여름에는) 난각에 사용된 잉크 자체가 수용성이다 보니까 번지는 경우가 발생하는데, 진열 시점에 전수검수를 하고 번진 게 발견되면 따로 뺀 다음에 교체 처리하죠.] <br /> <br />이달 초 식약처 조사를 보면 전국 마트 기준으로 90%가 산란일자 표시율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[전대훈 / 식약처 식품표시광고제 TF 연구관 : 대형마트는 100%, 중소형 마트는 약 71% 정도를 표시하고 있어서 평균적으로는 약 90% 정도 표시율을 보였습니다.] <br /> <br />달걀 껍데기에는 산란 일자 4자리 숫자를 포함해 생산자 고유번호 5자리, 사육환경번호 1자리 순서로 모두 10자리가 표시됩니다. <br /> <br />사육환경번호는 방목장에서 키우는 방사가 1번, 닭장과 축사를 자유롭게 다니는 평사가 2번, 개선 닭장과 기존 닭장이 각각 3번과 4번입니다. <br /> <br />[박규원 / 서울 동교동 : 달걀도 식품이니까 유통기한이 지나면 못 먹는 거고 신선도가 가장 중요한 식품이라고 생각해서 날짜가 꼭 있는 걸 중요하게 생각해요.] <br /> <br />그러나 산란 일자가 좀 지났더라도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. <br /> <br />달걀 유통기한이 상온에서 보관하면 30일, 냉장 보관하면 40일에서 45일 정도로 길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만일 영업자가 산란 일자를 제대로 표기하지 않으면 영업정지 15일과 해당 제품 폐기 등 행정처분을 받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: 김승재 <br />촬영기자: 고민철 박동일 <br />영상편집: 마영후 <br />그래픽: 박유동 <br />자막뉴스: 박해진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82314042940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